카테고리 없음

240531 TIL 서른세번째날 - WBS란? / 프로젝트 개발시 제일 중요한거

8나지 2024. 5. 31. 23:15
주제1 WBS
작성이유 WBS 라는 말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, 다음에 쓰게 될일 생길 수 있겠다 싶어서

프로젝트 작업시 해야할 업무를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는 좀 더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누어서 일정 및 진행사항 체크

 

[WBS 사용이유]

프로젝트의 범위를 알 수 있음

스케쥴에 따른 진철도, 업무의 선후관계 **어디에서 프로젝트 진행이 막히는지** 알 수 있음

어느 부분에 리소스 투입이 더 필요한지 알 수 있음

 

[WBS 잘 만드는 법]

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 만들고, 자발적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형성

레벨1 항목 정의. 이를통해 프로젝트의 전체 스코프 확정

레벨 1 정의했으면 그것을 기준으로 아래 단계로 세분화 => 세부적 항목까지 정의

* WBS는 한 번에 완벽하게 정리 되는 것이 아니다. 조금씩 변경하면서 완성도 높여갈 것

WBS 예시

 


주제2 프로젝트 때 제일 중요한 것
작성이유 뒷전이라고 생각했던 일이 사실은 매우 중요했음

 

상황 : 팀 프로젝트 발제 <뉴스피드 만들기>

; 뉴스피드란? 내 게시물을 포함한 모든 게시물을 볼 수 있는 공간 

블로그, 인스타, 등등

주제 아이디어 구상, 협업을 통한 API, ERD, 와이어프레임
진행과정 아이디어 구상 후 각각 API, ERD, 와이어 프레임을 나눠서 작성하였음. 정해진 시간을 두고 기본적으로 작성 후에 일찍 끝낸 사람이 도와주는 등의 협업을 시도함
문제사항 1. 이 팀원들과의 첫번째 프로젝트다 보니 각자 짜놓은 언어나 스타일이 조금씩 달라서
먼저 끝낸 ERD를 보고 API 작성하는 사람이 작성하다가 ERD을 기준으로 다시 작업함 => 시간이 2중으로 걸림 (오전11시부터 새벽1시까지 작성함)
2. 1번과 같은 이유로 API, ERD, 와이어프레임을 돌아가며 재 수정하는 일이 발생함. 거기다 튜터님의 조언을 듣고 수정하다 보니 수정할 일이 3-4번으로 늘어남
결론 규칙을 먼저 만들어서 함께 정의한다. 틀린 것이 있는지 서로 봐주며 작성하면 시간이 단축 될 듯
개인적 의견. 아이디어 구상 시 어디까지 개발할 건지 기존 틀을 잡고, 선택 사항도 따로 구상하되 개념을 제대로 잡고 넘어간다. (이 항목은 여기인거 같은데,,, 하다보니 다같이 고민하다 재수정을 여러번 하게된다.) 

<팀프로젝트 1일차>

우리의 마스코트.. 스타버스
구해줘-STAR⭐️VERSE.html
0.43MB


주제 1 참고사이트 :  https://lion-insight.tistory.com/3

 

WBS 란? (Work Breakdown Structure)

WBS 란? (Work Breakdown Structure) _예시자료 첨부 [WBS란] 프로젝트 작업을 할 때, 해야 할 업무를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는 좀 더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누어서, 일정 및 진행사항을 체크

lion-insight.tistory.com

 

코드 짜기 까지 너무 머나먼 여정이었다. 안일하게 생각한 API와 ERD 등 기본 세팅에 익숙해져야겠다.

회고 - 노션 너무 어렵다... 노션 작성법 및 활용법을 찾아봐도 좋을 듯